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66

하늘의 명命이 있어야 태어나진다 하늘의 명命이 있어야 태어나진다 태어나는 것도 죽는 것도 내 마음대로 안 되는 것입니다. 우선 태어남부터가 내 의지가 아닙니다. '태어나야겠다' 하는 의사를 가졌다 해서 내 마음대로 태어나지지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늘의 명命이 있어야만 태어나집니다. 태어나고 싶은데 명을 .. 2018. 4. 16.
본성의 지시 본성의 지시 사람이 해야 할 일 중의 하나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요. 또 하나는 자신이 하고 싶은 바와 무관하게 해야 하는 일이다.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는 아직 자신의 적성 개발이 부족한 경우이며, 수련생의 경우 대개 자신이 해야 할 일이 하고 싶은 일.. 2018. 4. 14.
자신의 통제 자신의 통제 항상 자신에 의해 자신의 길이 결정됨을 아는 사람들은 자신을 통제함에 전력을 다한다. 자신은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가치요.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모든 것의 시작은 자신으로 보는 것이다. 자신은 시작이자 끝이요 과정이니,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모든 것을.. 2018. 4. 12.
업보에 관하여 업보에 관하여 며칠 후 또 스승님께 인사올리다. 무슨 일이냐? 질문이 또 있습니다. 무슨 질문이 이렇게 많단 말이냐? 전의 업보는 무엇인지요? 전의 업보는 없다. 전에 있다고 하시었잖습니까? 전에 업보가 가볍지 않아 금생에 다 씻기는 어려울 수도 있으나 힘껏 노력하면 가능할 수도 .. 2018. 4. 11.
하늘, 섭리를 주관하는 세계 하늘, 섭리를 주관하는 세계 섭리(천법)를 주관하는 세계를 상징적으로 '하늘'이라고 표현합니다. 조물주님은 법칙을 만드신 분이지 우주의 운행에는 관여하지 않으시며, 각 영역에서 우주의 운행을 담당하시는 분들은 조물주님의 반열에 오르신 '仙인들'이십니다. 각자의 영역을 갖고 .. 2018. 4. 8.
탁기란 무엇인가 탁기란 무엇인가 여기 오신 분들은 비교적 주위에서 맑다는 소리 들으면서 살아오셨겠지만 수련하다 보면 특히 어느 시점에서 탁기를 많이 발산하게 됩니다. 가만히 있을 때보다 수련을 하면 오히려 탁기가 더 많이 나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염못의 물은 바닥에 뻘이 있어도 맑게 보이는.. 2018. 4. 5.
부끄러움 4 부끄러움 4 인간에게 있어 수치스러움은 자기 자신을 발견하여 교정해 나갈 수 있는 감각을 살려주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아무나 자극이 없이 진화하기는 어려우며 자극이 있어도 부족한 점에 대한 자극이 있어야 한다. 부족한 점에 대한 자극은 자신의 능력의 하한을 끌어올리는 데 동.. 2018. 4. 2.
작은 일 1 작은 일 1 항상 하찮은 일이 뒤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작은 일일수록 신경써서 처리할 것을 요한다. 작다고 무심코 넘겼다가 생각지 않게 후에 엄청난 결과가 오는 수도 있는 것이니, 작은 일에 대하여 주의함으로써 큰 일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허나 작은 일 중에도.. 2018. 4. 1.
자신의 일을 찾아야 자신의 일을 찾아야 사람으로 태어나서 해야 할 일이 있다. 하나는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는 것이요. 또 하나는 그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자신이 해야 할 일은 크게 하나이며 적게는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수련으로 가면서 그 중에 여러 가지 일들이 섞여 있는 것이다. 수련은 인간.. 2018. 3. 30.
지감, 금촉의 이유 지감, 금촉의 이유 며칠 후 스승님을 또 찾다. 스승님과의 대화 장면은 이렇다. 즉 내가 스승님을 찾는 동시에 나는 내 자리에 있고, 스승님은 선계에 계신 위치에서 내게 다가오시며 그대로 통한다. 마치 여화에서 두 장면을 한 화면에 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뭐냐? 부부생활은 수련과 .. 2018. 3. 28.
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우주로부터 왔습니다. 우주에는 소속이 결정되지 않은 영의 씨앗들이 많이 있는데 어떤 형태를 갖추기 전, 기운으로 존재하는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운에 의사가 부여되면 자신의 위치를 찾고자 하게 되고 일정한 법칙에 따라 지.. 2018. 3. 27.
기운의 원리 기운의 원리 새벽같이 오시느라 힘드셨죠? 마음을 다 열고 빈 마음으로 기운을 받아 가시기 바랍니다. 아직 여기 여건이 그다지 좋지 않아서 드릴 것은 기운밖에 없습니다. 기운은 가져가는 분이 임자입니다. 많이 드리고 싶어 100% 드리면 10% 정도밖에 못 받아 가셔서 아쉽습니다. 항상 텅.. 2018. 3. 26.
마음은 스승 마음은 스승 항상 마음에 지닌 바가 바르면 모든 것이 바르게 돌아가게 되어 있다. 마음은 나 자신이며 나를 이끌어 가는 스승이며 나의 수련에 영향을 받는 대상이기도 한 것이니, 마음을 놓치면 다 놓치고 마음을 얻으면 다 얻는 것이다. 마음은 어디에도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며, 마음.. 2018. 3. 25.
명확한 생각이 기본 명확한 생각이 기본 어떤 말을 할 때는 의사의 전달을 항상 명확히 하여야 한다. 명확함은 수련생의 기본 자세이다. 자신의 마음이 결정되지 않아 의사의 전달이 명쾌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신의 의사가 결정되지 않았음을 상대에게 알려 상대가 판단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인.. 2018. 3. 23.
수련은 작지도 크지도 않아 수련은 작지도 크지도 않아 이미 모든 해법이 내 안에 있다. 속(俗)의 모든 것들과 선(仙)의 모든 것들을 풀어가는 방법은 물론 그에 필요한 기타 사항들까지도 모두 내 안에 있다. 하루하루의 목표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관한 것도, 그에 대한 결과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관한 것도, 그로 .. 2018. 3. 18.
부끄러움 3 부끄러움 3 사람이 항상 부끄러움이 없을 수는 없다. 부끄러움은 자각에 의한 하나의 현상이며, 자기 존재에 대한 확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부끄러움은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것에서부터 어떤 행동의 미진함에 이르기까지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루 미치게 된다. 자부심과 반대로 부끄러.. 2018. 3. 16.
수련1.. [ 2018년 3월 15일.. 새벽 수련 마치고.. ] 일주일에 최소 4일 이상은 자연스레 4~5시에 눈이 떠진다. 고등 학생 시절부터의 습관이다. 요즘은 새벽에 눈이 떠지면, 1 시간 쇠칼 검술 수련을 하고.. 1 시간 명상을 한다. 가끔은 새벽 낚시를 가기도 하지만..^^ 나에겐 이 두 시간여의 검술과 명상이.. 2018. 3. 16.
[2부 仙인류의 삶, 2절 죽음을 준비하는 일. 1. 나는 누구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나는 누구로부터, 어디로부터 왔는가? 내것은 오직 '영靈'뿐 내것은 오직 '영靈'뿐 이 세상에 있는 내 소유물, 내 몸, 내 마음, 내 목숨 중에 내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내 것'이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내 마음대로 만들 수 있고, 없앨 수 있고,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내 것'입니다. 인간이 내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 2018. 3. 14.
전생의 부모님 전생의 부모님 며칠 후 다시 질문이 생겼다. 스승님께 인사드리고 여쭈었다. 또 무슨 일이냐 OO계에 부모님이 계시옵니까? 계시다. 허지만 지금 무엇 때문에 그것이 필요하단 말이냐? 마음을 정리하는데 필요합니다. 부모님께서 이 일을 알려도 괜찮다고 하실지 모르겠구나. 천군(天君)OO.. 2018. 3. 12.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 항상 모든 것이 내 수중에 있다. 다른 곳에 있는 것 같아도 내 손안에 있는 것이며, 내 것인 것 같은 것은 물론 내 것인 것이다. 황당한 것 같으나 가만히 생각해 보면 그 이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모든 것이 내 것 아닌 것이 없음은 내 것이라고 모두 내 마음대로 .. 2018. 3. 11.
건설은 어려우나 파괴는 쉬워 건설은 어려우나 파괴는 쉬워 수련이 많이 되어 기운이 장한 경우에는 한두 번의 만남으로도 상대방의 혈을 다 열어줄 수 있습니다. 그만큼 만남이라는 것이 에너지 소모가 많습니다. 그런데 기운이 장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에너지 소모가 많은 경우 당연히 수련이 더딜 수밖에 없습니다.. 2018. 3. 7.
지극 정성 지극 정성 인간이 원하는 일이 언제나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지극 정성으로 원하면 가할 것이요, 대충 원하면 불가할 것이다. 지극 정성은 인간이 원하는 가장 깊은 정성이요. 이 지극 정성이 나오기 위하여는 깊은 집중을 필요로 한다. 이 깊은 집중은 무조건적일 때 가능하며, 조건이.. 2018. 3. 6.
일상(日常)의 계획 일상(日常)의 계획 하루의 계획은 아침에 있고, 한 달의 계획은 월초에 있으며, 일 년의 계획은 연초에 있다. 수련의 계획은 시작에 있고, 수련의 진전은 일과에 있다. 수련에 있어 챙겨야 할 사항은 자신의 마음이다. 자신의 마음은 거울에 비추어 보면 본인의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 2018. 3. 4.
전생을 알다 전생을 알다 이후 스승님을 대하는 내 태도가 더 공손해졌다. 나에 대해 여쭈었다. 저는 전생에 무엇이었으며, 금생에 출생한 이유와 사명은 무엇입니까? 그럴 줄 알았다. 그것을 모르면 수련이 되지 않겠느냐? 그렇습니다. 알고 싶습니다. 전생은... OO궁의 OO니라. 금생에 출생한 이유는 .. 2018.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