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기46 탁기도 필요하다 탁기도 필요하다 이제 정신 차렸느냐? 공부가 뭔지 알 것 같으냐? 기(氣)란 실체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니라.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이 우주에는 모든 것이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그 모든 마음이 보이도록 표현되는 것이 바로 기니라. 이것을 볼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본.. 2019. 3. 21. 맑음으로만 갈 수 있는 길 맑음으로만 갈 수 있는 길 탁기는거의 한恨의 형태로 남아 있는데 금생에 다 배출이 안되면 다음 생에는 전생의 것까지 뭉쳐서 켜켜이 한으로 남아 있게 됩니다. 수련을 시작하면 처음에는 기운 받는 데 급급하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탁기를 없애고 맑게 하는 수련을 해야만 합니다. 그날.. 2018. 4. 20. 탁기란 무엇인가 탁기란 무엇인가 여기 오신 분들은 비교적 주위에서 맑다는 소리 들으면서 살아오셨겠지만 수련하다 보면 특히 어느 시점에서 탁기를 많이 발산하게 됩니다. 가만히 있을 때보다 수련을 하면 오히려 탁기가 더 많이 나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염못의 물은 바닥에 뻘이 있어도 맑게 보이는.. 2018. 4. 5. 온 세상의 탁기와 맞서 이기며 온 세상의 탁기와 맞서 이기며 한때 '仙인들이 왜 그렇게 일찍 돌아가시는가?' 하는 의문을 품았던 적이 있습니다. 仙인이면 당연히 무병장수해야 할 텐데 일찍 돌아가시더군요. 그것도 병을 얻어서요.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산속에 들어가서 홀.. 2015. 2. 19. 수련 중 유혹 수련 중 유혹 오염된 영혼이 많다. 순수한 상태로 수련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수련은 수련 자체로서만 의미를 두고 이 수련으로 다른 것을 얻으려 함은 그 자체가 업의 해소가 아닌 업의 누적이 된다. 인간의 일은 인간의 일로 끝내라. 유혹에 이길 수 있도.. 2015. 2. 16. 겉에 뭉친 탁기, 속에 뭉친 탁기 겉에 뭉친 탁기, 속에 뭉친 탁기 이번 생의 탁기뿐 아니라 전생에서부터 이어져 온 탁기도 있습니다. 전생의 탁기가 뭉쳐 켜켜이 한恨으로 남아 있습니다. 형상을 보면 겉에 탁기가 많이 모여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속에 모여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굴뚝에 더께 끼듯이 겉.. 2015. 2. 15. 정신적 갈등과 번뇌가 주 원인 정신적 갈등과 번뇌가 주 원인 탁기는 왜 생기는가? 대개 잡념의 산물로서 정신적 갈등이나 번뇌 때문에 생깁니다. 집중해서 한 가지를 골똘히 생각하면 답이 나오기 전까지는 계속 탁기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육체적으로는 안 좋은 음식이나 오염된 공기 등이 몸속으로 들어가서 배출되.. 2015. 2. 14. 정기와 탁기 정기와 탁기 기적氣的으로 보면 맑지 않다는 것은 탁한 기운 '탁기濁氣' 가 많다는 것입니다. 기氣는 맑고 탁함에 따라 정기精氣와 탁기로 나뉩니다. 정기는 맑고 밝고 온화해서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기운이고 탁기는 매연같이 탁한 기운입니다. 탁기를 접하면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 2015. 2. 8. [선계수련ABC]수련 자세에 대하여 '깨달았다' 는 것은 선계수련의 시작입니다. 이 수련은 한없이 넓은 우주를 다 가서 선계까지 가는 수련입니다. 수련 자세에 대하여 수련 자세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발은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 하시고, 자신이 불편한 발, 올리면 부자연스러운 발을 올리십시오. 계속 그렇게 하다 .. 2014. 3. 11. 아무데나 가지마라 아무데나 가지마라 나중에 기운이 장해지고 단전이 커지게 되면 어떤 장소의 탁기가 심해서 도저히 있을 수 없을 때 그 장소의 기운을 전부 중단으로 모아서 단전으로 내려서 태우면 그 장소의 기운이 정화됩니다. 밀폐된 장소나 사람이 많이 들락거리는 곳에 피치 못하게 갔을 때 사용.. 2013. 4. 16. 기는 맑고 장해져야 탁기는 거의 한(恨)의 형태로 남아 있는데 금생에 다 배출이 안되면 다음 생에는 그 전생의 것까지 뭉쳐지게 되어 켜켜이 한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다가 수련을 하면 비로소 배출이 되어 처음에는 탁기가 없던 사람도 몇 달만에 남들이 느낄 정도로 굉장히 탁기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 .. 2013. 4. 8. [탁기]하루라도 수련을 안 하면 하루라도 수련을 안 하면 몸 속에 탁기가 고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매일 계속해서 탁기를 배출해야만 수련을 할 수가 있습니다. 수련을 시작하면 처음에는 기운 받는 데에 급급하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탁기를 없애고 맑게 하는 수련을 계속 해야만 궁극적으로 이 수련이 가고자 하는 .. 2013. 3. 31. 거르마니 옛날에 북한 김일성이 중국 사람들은 거르마니가 열 개라고 한 적이 있어요. 거르마니라는 것은 평안도 사투리로 주머니라는 뜻입니다. 주머니가 열 개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하면 많이 가진 다는 얘기죠. 중국 사람들이 많이 챙기잖아요? 척 보고 두 개 있나보다 하면 안에 또 속주머니.. 2013. 3. 20. 여자의 생리와 수련 여자의 경우 생리와 수련은 어떤 관계인지요? 자연 현상으로서 신경을 쓰면 있는 것이요, 신경을 쓰지 않으면 없는 것이다. 어느 정도까지는 자신의 의지로 조절이 가능하며 앞뒤로 편하게 할 수도 있다. 인간의 마음은 항상 어느 정도의 경험에 의한 한계를 설정하고 지내므로 당연한 것.. 2013. 2. 5. 선인의 역할 맑지 않은 사람들은 늘 '나는 짐이 되고 있다.'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누군가에게, 나보다 더 맑은 사람에게 내가 짐이 되고 있다.' 이렇게 생각하시고 맑아지려고 노력을 하셔야 합니다. 탁기를 아무리 많이 받아도 별로 피해를 느끼지 않게 될 때까지는 상당히 오래 걸립니다. 선인(仙.. 2013. 1. 24. 맑음 첫째, 힘이 되는 것은 맑음입니다. 맑음이라는 것은 우주에서 가장 가치 있는 덕목입니다. 맑음으로서 영성(靈性)의 우열을 가리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맑아져야 합니다. 이 수련을 하다 보면 점차 맑아져서 나중에는 아주 투명한 상태, 모든 것이 다 들여다보이는 상태가 됩니다. 물도 맑.. 2013. 1. 21. 서늘한 기운 며칠 전에도 그렇고 오늘도 그랬는데 여기서 수련하다 보니까 감기 걸린 것같이 가슴에 서늘한 기가 남아 있는데 왜 그렇습니까? 차가운 기운은 탁기니 사기니 이런 얘기 다른 수련 단체에서 많이 들으셨죠? 우리 몸에는 일정한 비율의 지기, 천기, 우주기가 고루 필요합니다. 몸에 힘을 .. 2012. 12. 22. 천기는 느낌으로 온다. 인간의 입장에서 천기는 느낌으로 온다. 무엇인가 다른 느낌으로 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인간의 감각을 통하여 마음에 전달됨으로서 인간이 생존하고 수련하며 천명(天命)을 다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현대의 환경은 다양한 기기(器機)의 사용으로 인간을 둔화시켰으며, 이 둔.. 2012. 12. 7. 기생으로서 받은 탁기는 어떻게? "아무리 기생이라도 저를 정말로 사랑하는 분들과만 교류를 했으므로 별로 탁기가 없었습니다." 기생으로서 받은 남자들의 탁기는 어떤 방법으로 배출하였는지요? 처음에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가 본격적으로 기생이 되고부터 많은 고민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자신을 어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고.. 2010. 8. 17. 토정 이지함 선인과의 대화 큰 선인들은 온 세상의 탁기와 맞서 이기며 하늘의 뜻을 전파하였음을 안다면 앞으로는 모든 것이 쉬워질 것입니다. - 수련을 지도하는 수사(修士)들이 탁기 제거의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겠는지요? 사람의 일이 무릇 갈등이 없이 되는 일은 없습니다. 이 갈등이 탁기화 하는 것이며, 이 .. 2010. 2. 3. 탁기가 필요한 이유(허준 선인과의 대화) 탁기와 더불어 수련을 하면 탁기에 대한 저항력이 배양되어 자신도 모르게 강한 기운을 가진 기체가 되는 것입니다. 탁기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며 나름대로 긍정적인 면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정기만 가지고 수련을 한다면 정기의 강화가 되지 않아 허약한 기체(氣體)가 되고 말 것입니다. 그러.. 2010. 1. 25. 의념은 선인들의 통신법(허준 선인과의 대화) 탁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방법은 정신을 집중(의념)하여 자신의 단전에 천기를 축적시키는 것입니다. - 수련생들의 탁기(濁氣)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탁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수련중 의념으로 가능한 것이 있습니다. 수련은 의념을 강화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므로 의념으로 하는 방법을 익히면 .. 2010. 1. 20. 건설은 힘들지만 파괴는 쉽기에 수련이 많이 되신 분들은 한두 번의 만남으로도 상대방의 혈을 다 열어줄 수 있습니다. 만남이라는 것이 그만큼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얘기입니다. 자신의 기운이 장할 경우에는 상대방의 혈을 다 열어줄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는 에너지 소모가 아주 많습니다. 계속 기운을 열어 놓기 때.. 2008. 12. 22. 맑으면 선을 베풀 수 있다. 탁기를 많이 받다 보면 견디는힘이 생깁니다. 단련이 되면 어떠한 강 탁기도 무찌를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저절로는 안 되고 계속 훈련을 해야 합니다. 고심과 연구를 거듭하다 보면 스스로 탁기를 빼내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습니다. 맑아진 다음에는 누구에게나 힘이 됩니다. 기운이 맑아지면 그.. 2008. 12.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