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66

타인의 마음을 흔들어 놓은 업 타인의 마음을 흔들어 놓은 업 가장 큰 업은 타인에게 실망을 주었을 때입니다. 상대방의 마음을 흔들리게 만들어 놓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업인 것입니다. 사람이 하는 일이기에 실수가 있을 수 있지만 납득될 수 있는 범위여야 합니다. 납득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으로서 그럴 수도 있.. 2019. 8. 26.
평두 평두 평두란 무엇인지요? 평두란 우주의 파장을 받아들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천목이 백회에 가까워지게 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고대 왕족들이 가끔 사용한 이 방법은 인간이 하늘에 가까워지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련을 통하지 않고 하늘의 뜻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2019. 8. 22.
남을 잘못 인도하면 남을 잘못 인도하면 제가 회원님들께 수선재에 와서 때를 묻히지는 말라고 여러 번 당부 드리는데, 간혹 보면 '수련합네' 하면서 오히려 때를 묻히는 분이 계십니다. 스님이면 스님의 때가 있고 성직자면 성직자의 때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받드는 것에 젖어 자기도 모르게 거들먹거리는 .. 2019. 8. 20.
수련진도는 항상 일정해야 수련진도는 항상 일정해야 수련이란 항상 일정해야 하는 것이다. 깊지도, 얕지도, 길지도, 짧지도 않으며 언제나 비슷한 정도에서 진전되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수련 상태가 항상 비슷하면 진도가 일정하게 되고 진도가 일정하면 진전이 평온하게 되는 것이다. 수련 전이나 중이나 후가 .. 2019. 8. 16.
지역 감정의 뿌리 지역 감정의 뿌리 우리나라에서 지역 감정의 뿌리를 알고자 합니다. 지역 감정은 인간의 일이 반, 하늘의 일이 반이다. 하늘은 인간이 서로 발번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도록 되었는바, 이 서로 다른 사고 방식의 가장 근본적인 구분은, 계층이나 연령에 의한 것보.. 2019. 8. 9.
내가 한 일은 내가 책임진다 내가 한 일은 내가 책임진다 사람은 모두 자신이 해온 결과에 따라 나아가게 됩니다. 지금까지 해온 것들을 돌려받으며 살게 되는 것이지요. 내가 해온 결과는 내가 돌려받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받는 것이 아닙니다. 이처럼 내가 한 일에 대하여 그 결과를 내가 책임지는 것을 업業이라.. 2019. 8. 6.
■ 물질의 나눔-참 어려운 돈공부 참 어려운 돈공부 세상 공부는 반은 정情공부, 반은 돈공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공부 어지간히 하고 돈공부 어지간히 하면 세상공부는 거의 통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중 더 어려운 것은 돈공부더군요. 정공부만 해도 끊으라 하면 끊을 수 있는데 돈공부는 참 어렵더군요. .. 2019. 7. 28.
저의 정신적 상태가 이렇게 힘들어지는 것은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요? 저의 정신적 상태가 이렇게 힘들어지는 것은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요? 원래 수련이란 그 자체만으로도 힘든 것이다. 헌데 모든 것을 지고 수련을 더불어 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수련이란 원래 극도의 고행으로 이어지는 것인바, 이러한 고행이 아니더라도 다른 고행이 오게 되어 .. 2019. 7. 25.
지구에서의 역리와 순리 지구에서의 역리와 순리 지구의 스케줄은 항상 순리順理와 逆理가 절반씩 되도록 짜여 있습니다. 순리란 기운의 흐름대로 가는 것입니다. 순리로 흐를 때는 기운의 흐름이 부드러우며, 역리로 흐를 때는 기운의 흐름이 사납습니다. 순리와 역리는 평범한 사람들의 생각을 기준으로 합니.. 2019. 7. 22.
잡념과 축기 잡념과 축기 잡년의 제거 자체가 욕심이니라. 잡념이란 것이 모두 본래 나의 것이 아닌 것이 없다. 모두 내 안에 있었던 것이고 지금도 내 안에 있는 것이다. 버려야 할 대상 중에는 잡념도 그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것이니 그것을 버리지 않고 모두 버렸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잡념의 제.. 2019. 7. 18.
■ 마음의 아픔을 치료하는 방법 마음의 아픔을 치료하는 방법 마음이 아플 때는 어떻게 치료해야 하까요? 몸이 아픈 것은 침을 맞거나 약을 먹으며 치료를 받는데 마음이 아픈 것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첫 번째 방법은 마음의 상처를 작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대게 보면 큰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감당이 .. 2019. 7. 10.
영혼 결혼식 영혼 결혼식 영혼 결혼식에 대해 여쭙고자 합니다. 잘하는 것이다. 살아 생전의 못다한 인연이 그런 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생자(生者)의 의사가 아니다. 생전에 선하게 살았던 사자(死者)에 대한 하늘의 예의인 것이다. 하늘은 인간의 인연에 대하여 관여하지 않는 바가 없다. 인간의 인.. 2019. 7. 8.
선악의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선악의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옳고 그른 것도 없다는 말씀을 많이 드리는데, 왜 그런가 하면 이 사람의 기준으로 보면 이게 옳고 저 사람의 기준으로 보면 저게 옳기 때문입니다. 제가 광개토대왕이 仙인이셨다고 했더니 어떤 분이 "나라를 위해 좋은 일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많은 인원.. 2019. 7. 5.
피로회복 피로회복 피로회복은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지요? 수면이 좋다. 다음은 수련이 좋고, 다음은 운동이 좋다. 수면은 피로회복의 가장 좋은 방법이나 수면이 어려우면 수련을 하고, 수면이 어려우면 운동을 해라. 운동은 평소에 해야 하나 평소에 하지 못할 때는 수련시간이 끝난 후 조금씩.. 2019. 7. 1.
금지된 것을 보지 말고 열려진 것을 찾아서 금지된 것을 보지 말고 열려진 것을 찾아서 예를 들어 '성性'이라는 것은 '도道'와 맞바꿀 정도로 강렬한 것입니다. '소설 仙'에서도 사랑이 인간에게 가장 강력한 동기가 된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허나 알고 보면 함정이어서 그것을 금해 봐야 그 에너지가 다른 쪽으로 쓰입니다. 우리가 .. 2019. 6. 20.
OO기공 OO기공 OO기공은 어떤 것인지요? OO기공은 기공의 강도로서는 정수로서, 기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훈련하는 것에는 상당히 적합한 방법이다. 허나 강한 것을 위주로 하므로 모으는 것에 집착하여 널리 펴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 기공은 또한 널리 보급할 수 있는 것은 하니며, 수련.. 2019. 6. 18.
심법은 안에 있는 기운을 키우는 것 심법은 안에 있는 기운을 키우는 것 지기와 천기에 대해서 다시 여쭙고자 합니다. 지기가 들어오면 그에 상응하는 천기가 들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법이다. 지기의 과다 섭취는 결국 큰 수련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원인 중의 하나이니 지기가 많을 때는 그에 상응하는 천기의 주입이 .. 2019. 6. 14.
선함을 지향함에 있어서의 중용 선함을 지향함에 있어서의 중용 인간은 완전히 선하지도 완전히 악하지도 않은 존재입니다. 악한 면을 많이 타고나거나 선한 면을 많이 타고나거나 하는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후천적인 교육이나 본인의 노력으로 비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타고난 그대로 살 수도 있고 오히려.. 2019. 6. 9.
■ 선악과 보지 않기-선악과 공부는 무엇인가? 선악과 공부는 무엇인가? 사람은 누구나 따먹어서는 안 되는 선악과가 있습니다. 너는 금생에 돈이 없다. 너는 금생에 건강이 없다. 너는 금생에 사랑이 없다. 짝이 없다. 아이가 없다. 부모가 없다. 이런 것들을 한두 가지씩은 다 가지고 내려옵니다. '너는 이것은 따먹지 마라' 하는 선악.. 2019. 6. 5.
일본의 선도 일본의 선도 인사드림 무슨일이냐? 일본인의 책 "OO의 실상"이라는 책에 대해서 여쭙고자 합니다. 범위내에서 소화하도록 해라. 초보자에게는 좋은 지도가 될 수도 있으나 상당히 수련을 한 사람은 별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 번은 볼만한 책이다. 어느 정도로 보아야 하는지요? 너.. 2019. 5. 30.
동료의 의술 동료의 의술 OO한의원 원장이 의술을 제대로 펴고 있는 것인지요? 인체를 바로 알고 있다. 인체란 오묘하여 어느 정도 공부해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인체에 대하여 아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어도 모두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은 아니며, 제대로 알면 감히 손댈 수 없는 것이.. 2019. 5. 23.
비판과 긍정 사이의 중용 찾기 비판과 긍정 사이의 중용 찾기 죄측으로 기울어지면 매사에 비판적입니다. 누구는 어떻고 누구는 어떻고 하면서 계속 부정적으로 얘기합니다. 입만 열었다 하면 삐딱하게 말하고 절대 칭찬을 안 합니다. 사물을 계속 치우치게 보는 것이지요. 그런 사람들은 똑같은 일을 해도 스트레스를.. 2019. 5. 21.
무엇을 버려야 하는가? 무엇을 버려야 하는가? 버려야 할 대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먹고 자고 하는 본능적인 욕구가 굉장히 두꺼운 분이 있습니다. 인간은 반은 신이고 반은 동물이라고 말씀드렸지요? 동물적인 욕구 또한 인간이 갖고 있는 속성인 것입니다. 본능적인 욕구는 얇은데 자기만의 두께가 두꺼.. 2019. 5. 13.
정심은 수련 속에서 찾는 것 정심은 수련 속에서 찾는 것 수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느냐? 네 어떻게 수련을 하려고 하느냐? 우선 몸을 만들고 정심을 찾아볼까 하옵니다. 정심(正心)을 어떻게 찾겠느냐? 항시 모든 행동 속에서 찾아보겠습니다. 그것이 아니다. 수련 속에서 찾아야 한다. 정심은 그 실체가 워낙 엷고.. 2019.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