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명상 교과서/목적있게 사는 법237 다 알고 가는 것이 낫지 않겠는가?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국면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서른여섯 가지 정도라고 합니다. 배반, 질투, 원수끼리의 만남, 삼각관계, 사각관계...... 원수끼리 사랑한다거나, 외나무다리에서 만났다거나, 속였다거나, 죽였다거나, 살인자를 사랑한다거나 혹은 원수를 갚는다거나, 전쟁 중의 이별, 생이별, 사별, .. 2007. 7. 15. 경험하기 위해 태어났다. 우리는 경험하기 위해 태어났습니다. 경험하러 나왔으므로 많은 경험을 할수록 좋습니다. 대학에 입학했다면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배우고 졸업해야 좋은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지구라는 학교에 입학했습니다. 지금 지상에 나와 있는 분들은 알게 모르게, 또 싫든 좋든 본인들의 공부.. 2007. 7. 13. 지구가 속한 은하 지구가 속한 은하는 우주에서 부르는 호칭으로 하면 '아루이 은하'입니다. 아루이란 '항상 솟아오르는 샘물'을 뜻하는 말로서 우주에서도 기운이 항상 솟아오르는 곳, 즉 타 성단과 기운이 교류되는 곳입니다. 아루이 은하는 이렇게 기운을 받아들여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하는 은하입니다. 아루이 은.. 2007. 7. 12. 지구의 역사와 인류의 시원 지구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는 다르게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별 중의 하나입니다. 지구의 나이는 학자들이 말하는 50억 년 정도가 아닙니다. 지구에 인간의 씨앗을 뿌린 역사는 수백억 년 전입니다. 바로 인간의 씨앗을 뿌린 것은 아니며, 생명의 씨앗을 뿌렸는데 그것이 점차 진화를 거듭해가.. 2007. 7. 9. 급속 진화가 가능한 별 우주에서 지구만큼 진화가 빠른 별은 없습니다. 기적인 인류가 사는 다른 별들은 그렇게 빨리 진화할 필요가 없어서 상당히 서서히 움직입니다. 생물체의 종류도 매우 단순하고, 사람들도 영적인 수준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만 모여 있습니다. 그에 비해 지구는 전쟁터와 같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변화.. 2007. 7. 7. 감정의 기복이 극단을 달리는 별 또한 지구는 감정의 기복이 큰 별입니다. 지구에서의 한평생을 가장 고난도 수련과정으로 간주하는 이유는 감정의 기복이 극단을 달리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만 있다면 상당히 빠른 시일 내에 해탈이 가능합니다. 허나 감정의 기복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거나 그 달콤함에 안주한.. 2007. 7. 5. 윤회가 있는 별 지구에는 '윤회'라는 법칙이 있어서, 지구에서 일단 몸을 받아 나오면 수련을 마치기 전까지는 떠나온 곳으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윤회란 지구를 포함하여 수련을 위해 창조된 별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법칙입니다. 지구라는 별이 오고 싶다고 해서 쉽게 올 수 있는 곳도 아닙니다. 심사 .. 2007. 7. 4. 진화를 위해 창조된 수련별 지구가 창조된 목적은 '진화'입니다. 우주의 창조 목적은 진화인데, 지구는 그 진화를 위한 학습장으로서 창조된 별입니다. 지구가 속한 성단에서는 지구가 우주의 진화라는 중책을 맡고 있는 별이지요. 우주는 비슷한 요소를 지닌 별들을 모아 놓았고, 다시 그 별들을 태양계-은하-은하계 이런 식으로.. 2007. 7. 3. 다양한 것이 특징인 별 지구는 무엇보다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식물도 다양하고, 동물도 다양하고, 사람도 다양합니다. 아마존을 탐험하던 사람이 큰 나무 하나를 골라 그 밑에 망사를 깔고 나무를 흔들었더니 거기서 2억여 마리의 곤충이 떨어졌답니다. 나무 하나에 달라붙어 있는 곤충이 2억여 마리일 정도이니 생.. 2007. 7. 2. 우주를 통틀어 흔치 않은 별 며칠 전, 텔레비전에 물리학 박사 한 분이 나와서 강의를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새로운 은하계를 발견한 분이랍니다. 50억 광년 떨어진 은하계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우리가 지금 보는 은하계는 50억 년 전의 모습이다' 라고 말씀하시더군요. 50억 광년이라는 것은 빛의 속도로 그 별에서 여기까지 오는.. 2007. 6. 29. 모두 완성을 향하여.... 며칠 전 어느 분이 편지를 보내왔습니다. 무슨 일일까 하며 열어보니 '본인의 귀가 잘 안 들리는 것이 주위 분들에게 폐가 된다면 명상을 하러 오지 않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간 이분에게는 '세상에는 들어야 할 소리가 그리 많지 않으며 내면의 소리를 들어야 하는 명상에서는 차라리 귀가 잘 안.. 2007. 6. 28. 비워진 부분으로 인한 혜택 인간이 근본적으로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은 채우지 못한 공백 부분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공백 부분이 있다는 것은 가장 값진 혜택일 수 있습니다. 전부 채워져 있다면 그 위에 무엇을 더 채워 넣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비워져 있기에 그곳에 자신이 원하는 바를 채워 넣을 수 있.. 2007. 6. 27. 우주만물이 처음부터 완벽하다면? 이런 사람, 저런 사람이 골고루 섞여 있지 않고, 모든 사람이 일률적으로 출발점이 같다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처음부터 진화할 수 있는 소지를 많이 부여받은 인간이 있고, 바닥부터 시작하여 아주 오랜 기간을 묵혀 지내야 하는 인간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다 진화를 하고 있는 것인데 출발점.. 2007. 6. 26. 극에 달하면 소멸로 이어져 왜 인간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만들었는가? 인간이 다 조물주님의 작품이라면 왜 처음부터 다 같은 수준으로 만들지 않고 차등을 두어 만들었는가? 처음부터 완벽하게 만들어서 극에 달하면 소멸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끝에 다다르면 '무無'가 되어서 이 우주 자체가 없어져 버리는 것이지요. 조금.. 2007. 6. 25. 처음부터 달랐다 조물주님은 어떤 수준에서 인간을 만들었는가? 완벽한 수준에서 만들었는가? 동물수준에서 만들었는가? 곤충수준에서 만들었는가? 조물주님을 도와서 뭘 할려고 하면 어느 정도의 수준은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또한 그 수준에 있어서도 차등을 두었습니다. 인간은 천차만별입니다. 동물 같은 인간이.. 2007. 6. 24. 만일 완벽한 인간만 있다면? 만일 인간이 완전하게 창조되었다면, 태어나는 아기들이 다 완전하다면, 이 우주는 어떻게 될까요? 완전한 상태로 수억 년, 수십억 년 유지된다면 어떨까요? 다 조물주님 같은 분만 사는 세상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살면서 '저 사람보다는 내가 조금 더 나으니까' 하는 것 때문에 조금 기쁘고 한.. 2007. 6. 23. 왜 인간을 불완전하게 창조하셨을까 그럼 주물주님은 왜 인간을 불완전하게 만들었을까요? 왜 인간을 이 모양으로 만들어서 고통과 슬픔, 비애를 겪게 하는 것일까요? 조물주님은 인간을 어떻게 만들었으며 어디까지 관여한 것일까요? 조물주라고 하면 '만들 조(造)'자를 써서 '물건을 만든 분'이라는 뜻입니다. 물건을 만들려면 우선 물.. 2007. 6. 22. 신성과 동물의 속성이 반반 그런데 인간은 반반입니다. 반은 신이고 반은 동물입니다. 몸은 동물의 속성을 지니고 있고, 마음은 신의 신성을 지니고 태어납니다. 마음을 담을 그릇이 필요하니까 동물과 같은 속성의 몸을 만드신 것이지요. 조물주님과 같이 될 수 있는, 완벽해질 수 있는 자질을 부여하면서, 한편 그 내용 자체는 .. 2007. 6. 21. 인간의 가장 귀한 보물은? 이 씨앗을 신성(神性)이라고 합니다. 인간에게 부여된, 조물주님처럼 완벽해질 수 있는 자질이지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가장 귀한 보물을 주려고 하셨답니다. 원래는 그냥 주려고 하셨는데 보니까 인간들이 너무 말썽을 일으키고 괘씸하더래요. 그래서 그 보물을 어딘가 찾.. 2007. 6. 20. 조물주님의 씨앗을 가진 인간 조물주님은 하늘이기도 하고, 벌레이기도 하고, 땅이기도 하고, 흙이기도 합니다. 조물주님은 우주만물에 들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인간은 조물주님의 분신신 본성(本性)을 지니고 태어났습니다. 인간의 세포 하나에는 인간이 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들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DNA 하나만 추출하면 .. 2007. 6. 19. 하느님의 다양한 모습 톨스토이의 작품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 하느님께 그 모습을 한 번만 보여 달라고 매일 기도드린 사내가 있었습니다. 모습을 보여주셔야만 더 잘 믿을 수 있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느님은 '오늘 네게 내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하셨지요. 너무 기쁜 사내는 정성들여 준비를 끝내.. 2007. 6. 18. 이전 1 ···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