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명상 교과서/목적있게 사는 법

지감이란 느낌을 멈추는 것

by 날숨 한호흡 2008. 4. 10.

 

 

 

마음에 관한 사항을 끊는다는 것은 희로애락애오욕, 즉 느낌에 대해서 느끼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느낌이 오면 계속 깊이 들어가지 않고 그 느낌 자체를 잊어버리는 것이지요.

 

갑자기 누가 전화해서 굉장히 기쁜 소식을 알려줘도

그 기쁨을 오래 간직하지 않고 이내 잊어버립니다.

슬픔도 마찬가지로 느낌을 간직하지 않습니다.

사람이기 때문에 무슨 얘기를 들으면 마음에서 반응이 옵니다.

반응조차 오지 않는 것은 아닌데 그 반응을 금방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항상 비어 있는 상태, 무심의 상태로 있는 것이 지감하는 상태입니다.

느낌을 멈춘다, 감정이입이 안 된다, 감정의 흔들림이 없다, 다 같은 말입니다.

 

아는 한의사가 계시는데, 환자가 많아서 하루 종일 굉장히 바쁩니다.

그런데 퇴근할 때 만나보면 항상 쌩쌩합니다.

하루 삼사백 명씩 환자를 보면서도 어떻게 그렇게 쌩쌩하냐고 물었더니

자기는 무심으로 한다고 얘기를 하더군요.

환자를 볼 때 여자인지 남자인지, 아이인지 어른인지, 돈이 많은 사람인지 없는 사람인지,

얼굴 생김은 어떤지 등 잡다한 생각을 하지 않고 그냥 환자로만 본다는 것이었습니다.

 

일할 때 피곤해지는 이유는 감정을 섞기 때문입니다.

일 자체는 그렇게 힘들지 않은데, 옆 사람에게 신경 쓰고 일에 감정을 이입하기 때문에

지치고 피곤한 것입니다.

 

거래처 사람과 마찰이 생겨서 일이 잘 안되거나, 상사로부터 꾸지람을 들어서

화가 나고 부당하게 여겨질 때는 그냥 무심으로 드세요.

거기에 감정 섞어가며 얘기하다 보면 더 피곤해질 뿐 아니라 때로는 단전을 놓치기도 합니다.

반면 상대방이 얘기하는 것을 들어주고, 그럴 수도 있다고 얘기하고,

이쪽 입장도 얘기하면서 타협점을 찾으면 화가 안 납니다.

 

사회생활은 하되 느낌을 갖지 않는 자세, 행여 가져도 이내 잊어버리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만약 옆 사람이 계속 볼펜으로 딱딱 소리를 낸다 했을 때 한번 걸리면 계속 불편합니다.

그럴 때는 그 상태를 그냥 잊어버리는 겁니다.

그러면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는데 그런 것이 지감입니다.

소리는 귀로 듣는게 아니라 마음으로 듣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3장. 수련, 진화하기 위한 방법 - 지감과 금촉으로 27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