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6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과 의견 충돌이 있을때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건 옳지 않아, 저 사람은 항상 저런 식이었어" 라고요. 하지만 이런 기준도 모두 나의 선입견에서 나오는 오류일 수 있습니다. 누군가를 이해하려 할 때에는 나도 모르게 형성된 옳고 그름의 기.. 2013. 3. 5. 이해 이해 이해. 상대방의 마음이 되어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것. 곧 우주의 상태이니라. 우주의 인류는 본디 그러한데, 너희들이 허상의 벽을 만들어 엉뚱한 프리즘으로 서로를 비추고 그로 인해 스스로 상처받고 상처를 주는구나. 그것은 지금 단계에서의 굴레이고 장벽이니 그 장벽을 뛰어.. 2013. 3. 3. 흉보는 소리는 과감히 잘라야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보좌할 때 다른 사람 흉을 보면 안 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럼 윗사람의 자리에서 그런 말을 들었을 때는 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사람이 나를 눈멀게 하는구나, 이 사람 때문에 내가 망하겠구나' 그렇게 생각해야 합니다. "듣기 싫은 소리 그만해라" 하고 과감하게 잘라.. 2009. 10. 12. 내 기준을 버릴 수 있는가? 편견이 강한 사람을 보면 대개 자기 기준이 강합니다. 타인을 평가하는 자기 나름의 기준이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식이나 학식이 기준인 분이 있습니다. 많이 알면 좋은 사람, 무식하면 나쁜 사람, 이렇게 봅니다. 특정 지역을 선호해서 함경도 사람이면 무조건 좋은 사람, 강원도 사람이면 무조건 .. 2009. 7. 20. 편견이 강한 사람들 끌어안지 못하는 이유는 편견 때문입니다. 정치하는 인간들 눈꼴시어서 못 보겠다, 기업하는 인간들 못 봐 넘기겠다, 예술 한답시고 설쳐대는 딴따라들 못 봐주겠다, 이런 식의 편 가르고 차별하는 생각이 많기 때문입니다. 같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경우도 많더군요. 순수 문학하는.. 2009. 7. 17. 조화로운 통일 부드럽고도 조화로운 것. 그것은 겉보기에는 가장 약해 보이지만, 어떠한 단단하고 강한 것이라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지닌다. 물은 자신을 담는 그릇의 모양을 따르는 연약한 것이지만, 단단하기 이를 데 없는 무쇠까지도 녹슬게 만들지 않는가! 서로가 같은 목적과 생각을 가지고 모였.. 2007. 7.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