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공12 심법은 안에 있는 기운을 키우는 것 심법은 안에 있는 기운을 키우는 것 지기와 천기에 대해서 다시 여쭙고자 합니다. 지기가 들어오면 그에 상응하는 천기가 들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법이다. 지기의 과다 섭취는 결국 큰 수련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원인 중의 하나이니 지기가 많을 때는 그에 상응하는 천기의 주입이 .. 2019. 6. 14. 탁기도 필요하다 탁기도 필요하다 이제 정신 차렸느냐? 공부가 뭔지 알 것 같으냐? 기(氣)란 실체가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니라.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이 우주에는 모든 것이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그 모든 마음이 보이도록 표현되는 것이 바로 기니라. 이것을 볼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본.. 2019. 3. 21. 버린 만큼 홀가분해진다 버린 만큼 홀가분해진다 제 경우 기공氣功, 신공身功, 神功 공부는 재미있게 했는데 그 다음 심공心功 단계에서는 상당히 괴로웠습니다. 버리는 공부를 했기 때문입니다. 깨달음으로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저는 버리는 방법을 택했던 것이지요. 그런데 버리고 나면 그렇게 홀.. 2019. 2. 22. 천서에 대하여 천서에 대하여 천서란 하늘의 글이니 인간 마음대로 판단하려 하지 말 것을 요한다. 인간의 마음이란 사사롭기 쉬운 것이니 만큼 인간의 마음으로 판단하려 함은 여러 분야에서 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저런 이유를 들지 않더라도 항상 깨어있는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알 .. 2019. 1. 24. 심공수련 심공수련 심공 수련 중 다리의 자세는 어찌 해야 하는지요? 자세가 중요하다. 자세란 수련 효과를 담는 그릇으로서 존재하는 몸의 형태를 말하는 것인 즉 자세의 옳고 그름에 따라 수련 효과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우선 심공은 기의 이동이 비교적 적은 자세를 택해야 하고 움직이더.. 2018. 11. 19. 마음 잡는 것의 어려움 박(朴)과 저는 어떤 인연이옵니까? 큰 의미를 부여할 것 없다. 심법을 그를 통해 전달하려 해 보았으나 역부족인 것 같다.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말고 그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정도까지 배우도록 하라. 현재까지 심법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 중의 하나이므로 그에게서 얻어내는 것도.. 2018. 10. 6. 몸의 죄, 마음의 죄 몸의 죄, 마음의 죄 몸의 죄와 마음의 죄 중 어느 것이 더 크옵니까? 마음의 죄니라. 몸의 죄만으로는 탁기가 생기기지 않으나 마음의 죄는 탁기가 생기며 그 탁기가 영향을 미치므로 마음의 죄가 크니라. 마음 공부라 함은 이 탁기 생성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나 그리 쉽게 가지 못하므.. 2018. 8. 30. [영적인 스승님들과의 만남]기공스승님과의 만남 기공스승님과의 만남 나의 특이공능 수련은 1992년 10월에 시작되었다. 이 수련은 인체의 상단전을 개발하는 기공의 일종이다. 기공사는 중국 용정에 사는 20대 중반의 아름다운 미혼 여성이었다. 1차 수련은 4명이 받았고, 나는 2차 수련생의 대열에 들어갔다. 수련 신청자가 많아 신청자의.. 2014. 2. 15. 프롤로그.. 프롤로그.. 내가 영적(靈的)인 스승님을 만나게 된 것은 기(氣)를 알고 난 지 만 4년만의 일이었다. 1988년 초 안국동에 있는 단학선원에서 기를 알게 된 후 선원과의 인연이 길지 않았는데, 그 후 중국 용정에서 온 조선족 여 기공사에게서 특이공능(特異功能)을 수련하던 중 내게 선생님이 .. 2014. 2. 8. 기공에서 심공으로 수련은 마음의 문을 열면서부터 다시 시작된다. 기공에서 심공으로 드는 것이다. 이 공부가 마음 공부라 함은 이 단계를 일컫는 것이니 이 마음 공부에 통하고 나면 어디든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 천지 만물의 이치가 들여다 보이며 세상의 모든 일들이 손아귀에 있는 것 같음을 느끼게 .. 2012. 6. 14. 기공과 심공 다른 사람은 기 공부(氣功)이나 너는 마음 공부(心功)를 하는 중이다. 이미 다른 사람과는 단계가 다르다. 허나 전에 한때 함께 공부한 인연으로 너의 진가를 몰라보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것인즉 괘념치 말아라. 세상은 아주 잘하는 사람의 경우, 70% 정도 알아주면 잘 알아주는 것이니라. 기 공부만 해.. 2009. 10. 12. 자신을 버려 우주를 얻는다 제가 기공氣功, 신공身功, 신공神功 공부는 재미있게 했는데 그 다음 심공心功 단계에서는 상당히 괴로웠습니다. 버리는 공부를 했기 때문입니다. 깨달음으로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저는 버리는 방법을 택한 것이지요. 그런데 버리고 나니까 그렇게 홀가분할 수가 없습니다. 버릴 때에는 아.. 2008. 3.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