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의 태동은 제가 볼 때는 유럽입니다.
프랑스 사람은 베짱이고 영국 사람은 개미라고 하잖습니까?
그런데 이제는 그 영국 사람들에게조차도 '다운쉬프트downshift 족' 이라고 해서
"느리게 가자, 출세도 싫고 돈도 싫고 명예도 싫다, 나른 찾겠다" 하는 흐름이 있습니다.
보수 진영에서는 별로 환영하고 싶지 않은 부류입니다.
그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가다 보면 기존 질서가 다 파괴되겠기 때문입니다.
회사 소유주가 볼 때 근로자들이 꼬박꼬박 주말 찾고,
법정 근무 일수 딱 채우고는 휴사 달라고 하면 유지가 잘 안됩니다.
집안 어른들이 볼 때도 젊은이들이 가부장적인 질서에서 다 이탈하게 생겼으니까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고요.
기득권 세력으로서는 거부하고 색안경을 끼고 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결국 대세를 따라가게 마련이지요.
전 세계적으로 제일가는 일벌레가 우리나라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법정 근무 시간이 주당 40시간이 넘는 나라가 우리나라입니다.
그런 나라에서조차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게 됐습니다.
안 하려고 버티고 버티다가 노조에 밀려 어쩔 수 없이 시행하게 됐습니다.
그 거대한 흐름이 이제는 뿌리칠 수 없게 들어와 있는 것입니다.
물밀듯이 들어와 있습니다. 그것이 웰빙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참 보수적인 나라지요.
아마 주 5일 근무제 법안도 끝가지 버티다가 통과된 나라에 속할 겁니다.
일 많이 하는 걸 칭찬하고 인간의 기본 도리이자 덕목이라고 여기는 나라입니다.
국가적으로 "일하자, 잘 살기 위해 일하자" 노래하며 끌고 가는 나라입니다.
아침부터 밤까지 일벌레처럼 일하지 않으면 죄의식을 느끼는 문화적인 분위기가
아직 많이 남아 있습니다.
[7장 삶을 살고 즐기라, 308쪽]
'2. 명상 교과서 > 행복하게 일하는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적이고 우주적인 웰빙 (0) | 2010.10.19 |
---|---|
우리가 원래 돌아가야 할 길 (0) | 2010.10.17 |
[인간답게 살기 위해 태어났다]웰빙, 나를 찾아야겠다. (0) | 2010.08.25 |
또 다른 세계를 개척해 보라 (0) | 2010.08.18 |
직업에서 놓여난다는 것 (0) | 201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