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명상 교과서/사랑의 상처를 달래는 법

배우자의 외도를 대하는 마음가짐

by 날숨 한호흡 2008. 8. 19.

 

 

 

 

 

                       사람들은 대개 배우자의 외도를 알고 나면 굉장히 힘들어합니다.

                       "나는 안 했는데 당신은 왜 했느냐?" 하며 약 올라하고,

                       지난 일들을 하나부터 열까지 의심스러워하고,

                       그것들을 되씹으며 엄청나게 탁기를 뿜습니다.      

         

                       그런데 세상에 용서 못 할 죄는 없습니다.

                       배우자가 그렇게 외도할 만한 이유도 있는 것입니다.

                       바람을 피우는 사람의 심리에는

                       기본적으로 남에게 기대보려는 욕구가 있습니다. 

                       자꾸 밖에서 찾으려고 하는데

                       이 사람도 100% 흡족하지 않고 저 사람도 100% 흡족하지 않으니까

                       옮겨 다닙니다.

                       그 순간은 100% 흡족한 것 같은데 좀 지나면 아니고,

                       부족한 부분이 또 생기고.......

                       계속해서 다른 사람, 또 다른 사람, 하면서 찾아다닙니다.

 

                       그러니까 자꾸 되씹지 말고 과감하게 탁 쳐 버리십시오.

                       그런 일에 너무 얽매이면 건강을 그르치고,

                       자신의 일을 그르치고, 명상도 못하게 됩니다.

                       배우자의 부정이 내 건강보다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우선 나를 지켜야 하고 살아야 합니다.

                       아이들에게는 부모로서의 책임이 있는 것이고요.

                       그러니 거기 매달려 집착하는 것이 참 부질없는 일입니다.

                       그것만큼 손해 보는 일이 없습니다.

 

                       물론 쉽지는 않습니다.

                       오죽하면 후유증이 3년 간다고 하겠습니까?

                       죽을 때까지 용서를 못 하는 분도 계십니다.

                       하지만 명상을 하시는 분들은 남들과 달라야 합니다.

                       "그까짓 것!" 하면서 순식간에 털어버릴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럼 나는 잘났니?' 하고 생각해 보십시오.

                       살펴보면 자기도 못난 부분이 있습니다.

                       분야가 다를 뿐이지 나에게도 반드시 취약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그 부분이 취약했던 것이고,

                       나는 드러나지 않은 다른 취약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자꾸 배우자에게서 원인을 찾지 말고

                       '나에게 문제가 있지는 않았나?' 돌아보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자신을 닦는 실마리가 될 것이고요.

 

                       '그 사람이 바람을 피우는데 왜 내가 괴로운다? 시원하지, 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배우자가 바람피운다고 해서 괴로울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는 '배우자의 마음이 딴 데 가있으면 괴롭다' 라는

                       고정된 공식을 가지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참에 잘됐다' 하면서 속이 후련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기존의 어떤 관념으로 인위적으로 사고를 막지 마십시오.

                       그러면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내 마음이 원하는 대로 다 풀어놓아 보십시오.

                       풀어놓으시고 마음으로 자유로워지십시오.

                       본인이 원하는 대로 마음으로 쭉 가보십시오, 어디까지 가는지....

                       한번 그렇게 명상을 해보십시오.

 

 

 

                       [ 5장 행복한 부부생활의 비결, 204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