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방미인이란 말은 좋은 것이 아닙니다.
사실 아무 것도 잘 하지 못한다는 얘기이기도 하거든요.
에너지라는 건 한계가 있어서 어떤 한 쪽으로 집중해서 쓸 때 파워도 실리고,
개발도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 하려다 보면 어느 정도까지밖에 발전을 못합니다.
자신의 일 외에 한 가지 정도 잘 하는 건 괜찮지만
나머지는 포기하는 법을 배워야 됩니다.
뭐든 한 가지라도 잘 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에너지가 많이 듭니다.
그 외에 한두 가지 잘 하면 금상첨화인데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합니다.
본인도 자꾸 세뇌되다 보니 이것저것 다 잘해야 되는 줄 알고 그렇게 행동합니다.
아이들에게도 부모나 주변에서 요구하는 게 너무 많습니다.
하도 여러 가지를 요구하니까 자연스러움을 잃어버립니다.
그대로 크도록 내버려둬야 무리 없이 잘 뻗어 나가는데,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이렇게 해야 예쁘다, 저렇게 해야 예쁘다,
그런 소리를 자꾸 들으면 머리에 남아서 자기 의도대로 안 하고
들은 대로 하게 됩니다.
칭찬도 과하면 안 하느니만 못합니다.
'잘 한다, 잘 한다'도 그냥 한두 번 얘기했으면 됐지,
자꾸 하는 건 매일 잘하란 얘기거든요.
예쁘다는 것도 한두 마디 얘기해 주면 됐지,
자꾸 예쁘다고 그러면 만날 예쁘라는 얘기입니다.
그렇게 사회에서, 주위에서 너무 많이 요구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다 스트레스입니다.
[무심 165쪽]
'1. 명상 칼럼 > 무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와 열정]휘두르지 않고, 무심! (0) | 2007.08.14 |
---|---|
[용서와 열정]용서하지 못하는 것 세 가지 (0) | 2007.08.13 |
[자유로운 가족]가장 기본적인 교육 (0) | 2007.08.02 |
[행복의 비결]살아있는 것만으로도 고맙다. (0) | 2007.07.31 |
[스트레스 해소법]하루 한 가지 (0) | 2007.07.27 |